하치스카 코로쿠 마사카츠(蜂須賀 小六 正勝)의 이름은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와 뗄래야 뗄 수 없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도적 두목이었던 코로쿠가 소년 시절의 히데요시 즉 히요시마루(日吉丸)와
야하기(矢作) 다리[각주:1]위에서 만났다. 다리 위에서 자고 있던 부랑아 히요시마루의 머리를 발로 차서 깨우자 소년을 대담하게도 “무례하구나! 이리 와 사과하시오”라고 말했다고 한다. 코로쿠는 그 호방함에 반했다고 한다.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있다.
 시바 료우타로우(司馬 遼太郎) 선생의 글에 나오는 것인데, 선조가 도적이라는 것에 옛
아와(阿波) 번주인 하치스카 후작은 창피를 느꼈다고 한다. 메이지(明治) 시대에 귀족원 의장을 지낸 하치스카 가문의 당주 모치아키[각주:2](茂韶) 후작은 어느 날 메이지 텐노우(明治天皇)를 알현하였을 때 테이블에 진귀한 담배가 있었기에 2~3개를 품 안에 넣었다. 도중에 자리를 뜬 텐노우(天皇)가 그것을 알아차리고는 “역시 선조는 속일 수 없구만”하고 크게 웃었다고 한다. 텐노우(天皇)까지 하치스카 코로쿠가 도적이었다는 것을 알고 계셨던 것이다.[각주:3]
 
그러나 이 불명예스러운 전설은 쇼우와(昭和) 초기 와타나베 요스케(渡辺 世祐) 박사의 고증으로 인해 사라지게 된다. 무엇보다 당시 야하기바시 다리는 걸려있지 않았다는 것이 명확해 진 것이다.[각주:4]

 하치스카 가문은 도적 따위가 아닌 오와리(尾張) 아마 군(海部郡)의 호족으로, 현재도
렌게 사(蓮華寺)라는 이름있는 절이 남아있어 그곳에는 하치스카 가문에 관한 문서가 전해지고 있다.

 히데요시와 연을 맺게 된 것이 히데요시의 떠돌이시절인지 오다 가문(織田家) 내에서 만나면서부터인지 확실치 않지만 코로쿠 마사카츠가 세상에 얼굴을 내밀게 된 계기가 된 것은 히데요시의 스노마타(墨俣) 축성으로 인해서이다.
 
오다 노부나가(織田 信長)는 자신의 영지(領地)인 오와리(尾張)와 사이토우 가문(斉藤家)의 미노(美濃)와의 국경에 성을 쌓아 전선기지로 만들려고 하였지만 사이토우 군의 방해로 인해 그 시도는 참담한 결과로 끝나 거의 불가능이라 여겨지고 있었다. 그런데 그것을 오다 가문에서도 미관말직이던 토우키치로우(藤吉郎=히데요시)가 단번에 만들어 버렸다. 세상에서 말하는 ‘스노마타 일야성(墨俣一夜城)’이다. 이를 계기로 토우키치로우는 크게 출세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성공의 뒤에서 활약한 것이 코로쿠 마사카츠이다.[각주:5] 코로쿠는 휘하의 도적들을 거느리고 스노마타 축성 공사와 수비에서 활약하였다. 스노마타 성이 완성되자 코로쿠는 오다 가문에 고용되어 성주가 된 토우키치로우를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코로쿠 마사카츠에게도 무공담은 전해지지만 그의 본질은 정략(政略)에 있었다.
 히데요시의 전투 방식은 상대를 죽이지 않고 항복시키는데 있었다. 상대를 이익으로 꼬시는 것인데 그 역할을 코로쿠가 담당하였다. 히데요시의
츄우고쿠(中国) 정벌에서 비젠(備前), 빗츄우(備中), 미마사카(美作), 호우키(伯耆)등의 여러 성을 공략했을 때 대부분 마사카츠의 외교절충으로 무혈 개성시켰다. 세토 내해(瀬戸内海)의 해적들도 코로쿠의 뛰어난 외교로 히데요시의 산하가 되었다.

 특히 가장 커다란 외교적 무대가 된 것은 빗츄우(備中) 타카마츠 성(高松城) 공략 시의 절충이었다.
 츄우고쿠(中国)의 실력자 모우리 씨(毛利氏)와의 강화(講和)가 이번 공성전의 처리 결과에 달려 있었다. 마사카츠는
쿠로다 칸베에(黒田 官兵衛)와 함께 모우리의 외교승 안코쿠지 에케이(安国寺 惠瓊)와 화의 교섭을 거듭하고 있었는데 하필 그때 혼노우 사(本能寺)의 변보가 전해진 것이다. 노부나가가 횡사했다는 소식이 모우리 측에 전해지면 강화는커녕 오다의 원군을 기대할 수 없기에 히데요시의 군은 모우리의 총공격에 잠시도 버티지 못하고 패했을 것이다. 마사카츠는 이 중대한 위기 속에서 타카마츠 성주 시미즈 무네하루(清水 宗治)를 할복시키며 화의를 성공시킨 것이다.

 하치스카 가문은 후에 아와(阿波) 토쿠시마(徳島) 25만 7천석으로 막말까지 이어진다.

[하치스카 마사카쓰(蜂須賀 正勝)]
오와리(尾張)
하치스카 출신. 처음엔 그 지역의 소영주(小領主)였지만 오다 가문(織田家)을 섬겨 노부나가(信長)의 명령으로 히데요시(秀吉)에게 배속[각주:6]. 1581년 하리마(播磨) 타츠노(竜野) 성주가 된다. 1586년 오오사카(大坂)에서 죽었다.

  1. 링크된 맵은 야하기 야하기바시 역(矢作橋駅). 오른쪽에 흐르는 것이 야하기가와 강(矢作川). 다리는 역에서 동북쪽 근처에 있었다 한다 [본문으로]
  2. 이 책에서는 ‘시게아키’라고도 루비가 되어 있지만 ‘茂’라는 글자는 14대 쇼우군 토쿠가와 이에모치(徳川 家茂)의 모치(茂)를 물려 받았으니 모치아키가 정확하다. [본문으로]
  3. 모치아키의 부친 나리히로(斉裕)는 에도 바쿠후 11대 쇼우군 토쿠가와 이에나리(徳川 家斉)의 아들로 하치스카 가문에 양세자로 들어갔기에 혈연적으로 이어져 있지는 않다. [본문으로]
  4. 야하기바시 다리는 1601년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참고로 히데요시는 1598년에 죽었다. [본문으로]
  5. 이 이야기는 주로 무공야화(武功夜話)의 기술에 따른 것이라고 하는데, 그 책에는 현대에나 쓰는 말이나 당시에는 없었지만 마을끼리 합병되면서 만들어진 지명, 교차검증에 따라 틀린 기술이 많은 점 등으로 인해 근년 무공야화는 위서(僞書)가 아니냐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문으로]
  6. 1573년에 아자이 가문을 멸망시킨 노부나가가 히데요시에게 옛 아자이 가문 영지를 하사하였을 때 히데요시에게서 1600석의 영지를 받았다고 하니 이 즈음부터는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볼 수 있다고 본다. [본문으로]

어제 댓글을 달다가 히지카타 토시조우를 언급하다 보니 생각난 것...

시바 료우타로우(司馬 遼太郎) 선생이 타올라라 검(燃えよ剣)을 쓰시기 전까지,히지카타 토시조우(土方 歳三)는 그다지 인기가 있던 인물은 아니었던 듯 하다. 이 작품이 나오면서 히지카타의 인기가 높아지기 시작했다고 한다.그래서인지 그 이후에 나온 작품상의 히지카타도 시바 선생이 만들어낸 히지카타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 같다.

영상으로 된 신센구미(新撰組, 新選組)에 나오는 인물도 냉혹하고 눈빛이 날카로운 사람이 주로 맡는다. 그 중에서도 이색적이라는 평가를 받은 것은 호모 영화인 [고핫토(御法度)]에 나왔던 비-토 타케시와 아이돌이 나왔다는 이유로 까이는 NHK 대하 드라마 [신센구미!(新選組!)]의 야마모토 코우지(山本 耕史)였던 것 같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정말 잘 만들어진 대하드라마라고 생각한다).

비-토 타케시는 그리 잘 생긴 얼굴이 아니며(보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또한 나이를 너무 들어서였고,

야마모토 코우지는 오히려 비슷한 나이대(다른 영상물의 히지카타는 대체로 30대 후반에서 40대의 배우가 맡는다)가화제가 되었다.

외모상으로는 야마모토 코우지가 눈매(그는 굉장히 귀여운 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만 빼 놓고는 가장 히지카타랑 근접하지 않을까 싶다(문제는 콘도우역의 카토리의 키가 커서 당시로써는 장신이었다는 히지카타의 키를 표현하지 못했다는 점과). 성격도 까불까불 빈정빈정 대는 연기가 정말 좋았다.

그러나 검술만 따지면 영화 고핫토의 비-토 타케시가 가장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다른 영화들은 그냥 특색없이 강한 검사로만 나왔다고 생각한다.)

이건 개인적인 이유가 있는데, 내가 히지카타 토시조우의 모습을 처음 머리에각인시켜 놓은 것은 위에 적은 [타올라라 검]을 읽으면서였다.동물도 알에서 나와 처음 본 것을 어미로 여기듯, 이 소설에서그려진 히지카타가 계속해서 내 머리 속에서는 히지카타로 자리잡고 있다.

그소설 상에서히지카타는 북진일도류(北辰一刀流)를 싫어한다.

시합을 하러 온 타류(他流)의 검사들을 상대하기 위해서 북진일도류도장의 검사를 빌려야 했던 약소 유파 천연이심류(天然理心流)에 속해서 배알이 꼴려있었고, 거기서 파견 나온 재수 없는카츠라 코고로우(郞 - '원에리'님이 지적한 것과 같이 신도무념류(신토우 무넨류(神道無念流))입니다. 제가 착각하고 있었습니다. 소설상에서도 렌페이칸(練兵館)으로 나옵니다-2008.7.7일 덧붙임)를 만나면서 더욱 그곳을 싫어하게 되고, 역시 잘난 척 하는 야마나미 케이스케(山南 敬助)도, 후에 신센구미를 둘로 나누는 이토우 카시타로우(伊東 甲子太郎)도 북진일도류.또한 그 도장을 다니는 인물들끼리 부르다 세상으로 퍼지게 된상대방 이름 끝에다 "쿤(君)"이라는 경칭을 붙이는 것을 아주 못 마땅해 한다.

다음 동영상은 영화 고핫토에서 히지카타가 상대방과 겨루는 장면이다.

천연이심류 중극의목록(中極意目録 - 중간보다 조금 나은 정도)인 히지카타는 실전에서 굉장히 강했다고 한다.
힘과 기술보다는 머리를 잘 썼다고 한다.
그런 점을 표현하기라도 하듯이 이 장면에서 히지카타는 상대를 공격할 때 제일 먼저 손을 공격한다.
아무래도 손을 공격하고 나면 그 충격으로 이후에는 아무래도 날카로움이 없어지지 않을까?
(솔직히 검도는 전혀 경험이 없어서 모른다 --; )

두번째 타시로 효우조우(田代 彪蔵)와 싸울 때도 역시 팔 - 삼두근을 노린다. 성공한 뒤에 하는 말이...
"그걸로 북진일도류의 목록인가?"
(이 자막은 내가 단 것이기에 DVD나 영화와는 다를 수 있다)

현대 검술이 아닌 옛 검술(古流剣術)에서 공격하는 부위는 지금과는 다르게갑옷-토우세이구소쿠(当世具足)-의 빈틈을 주로 노리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때문에 편한 움직임과 방어력을 동시에 갖추었다고 평가 받는 토우세이구소쿠에서 방어하는 부분이 없는 삼두근을 가볍게 허용한 재수 없는 북진일도류의 목록 (간단히 말하면 태권도의 검은띠를 차게 된 것을 말한다)을 무시하게 된 것이다.

그 전의 가노우 소우자부로우(加納 惣三郎)와 겨룰 때는 단 한 마디도 안 한 것에 비하면, 이렇게 무시하는 말을 하는 것은 뭔가를 의미하는 것 같다.

이 영화를 처음 보았을 때, 사전 지식이 없어서 그냥 상대방의 실력을 비웃는 것인가? 정도로 생각하였지만,

나중에 이 영화의 원작('신선조혈풍록'에 수록된 단편)이 시바 선생의 것이고, 타올라라 검에서 북진일도류를 싫어하는 히지카타가 이어지면서, 이 단지 비웃는 장면의 뒤편을 보았다(...고 생각한다 ^^ 실제로 감독인 오오시마 나기사(大島 渚) 감독이 그렇게까지 했는지 어땠는지는 모르겠다)

즉 이 장면 하나로 고핫토의 히지카타가 내 머리 속에 그리던 히지카타의 검술과가장 매치가 된다고 할까? ^^

만화에서는 단연 [므츠원명류외전 수라의 각(陸奥圓明流外伝 修羅の刻)] 막말편의 히지카타가 제일 멋있다.
(만화에서 그가 죽을 때는 눈물이 날 정도였다)

월명성희 굿바이 신선조는1권 밖에 안 보았지만 1권만 한하면 오버가 심했고,
(그래도 키 작은 미소년 풍이 유행인 오키타를 키가 큰 인물로 그리는 등 그나마 알려진 인물상에 근접하려고 했던 듯 하다)

피스메이커 쿠로카네에 나오는 히지카타는 너무 멋있어서 거부감이 들었다.
(이치무라 테츠노스케(市村 鉄之助)라니... 센스 발군이다.)

일본판으로만 보다 만 [바람 빛난다(風光る)]의 히지카타는 성격이 정말 맘에 들었다(이런좋은 쪽으로 성격 나쁜캐릭터를 개인적으로 좋아한다).

지금은 이름이 생각 안나는데, 나카무라 한지로우(中村 半次郎)와 친구 먹는 작품은 그저 그랬다.

원래는 동영상 설명만 하고 끝내려 했는데...

취소선을 그은 것은 일일이 잘난 척 하자면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이다.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저러한 것에 대해서도 쓰고 싶다.

'그냥 생각난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또...왠지 이월될 것만 같다.  (5) 2008.06.21
블로그씨가 물어보길레...  (9) 2008.05.29
2008년 4월 9일.  (10) 2008.04.09
"떼법"하니까 생각난 거...  (4) 2008.03.20
...아이러니...  (2) 2008.03.14

토요토미가(家)의 사람들

일본서적 번역 2007. 6. 24. 08:58 Posted by 발해지랑


카테고리 "豊臣家의 사람들"의 책표지..

매주 월요일에 업데이트 하기로 했지만...

현 상태에서 그래도 꽤 많이 번역한 편이지만...

주석다는 것이 넘 귀찮아서 올리지 않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