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가루 다메노부[津軽 為信]
1607년 12월 5일 병사 58세.

1550 ~ 1607.

히로사키[弘前]의 번조(藩祖). 처음엔 오오우라[大浦]씨를 칭하나 난부[南部]씨의 지배가 약화되자 독립.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에게서 츠가루 지방의 지배를 인정 받아, 츠가루를 성(姓)으로 삼았다. 세키가하라[関ヶ原]에서는 동군에 속해 오오가키[大垣] 공략에 참가하였다.

 

 

 




 



전국말기에 주가를 배반한 무장.

 

 오오우라 성[大浦城]의 성주 오오우라 타메노리[大浦 爲則]의 사위인 타메노부[爲信]는 그 때까지 난부[南部]의 성(姓)을 썼었다. 츠가루[津軽]라는 성은 1589년 오다와라 성[小田原城] 공략을 위해 참진하여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에게서 츠가루에 3개 군(郡)을 안도 받으면서 쓴 성이다.


 난부 가문 츠가루 담당관(郡代)의 집사(執事)를 맡고 있던 타메노부가 츠가루 지역 일원을 난부 가문에게서 무력으로 강탈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난부 가문에 후계자 문제로 인해 내분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타메노부는 불만이 많은 쿠노헤 마사자네[九戶 政実]와 손을 잡는 한편 아세이시 성[浅瀬石城]을 영지로 가지고 있던 난부 가문의 가신 센토쿠 마사우지[千德 政氏]와 맹약을 맺고 지금까지 츠가루의 영민을 잘 다스린 실적을 기반으로 츠가루 일원을 손에 넣을 수 있었던 것이다.

 

 운 좋게도 이런 강탈 행위가 히데요시가 발령한 '칸토우오우 총무사령[関東奧羽㹅無事令]'[각주:1]이 발령되기 전에 아슬아슬하게 시간을 맞출 수 있어 센고쿠 시대 말기에 자신의 영토를 얻는데 성공한 것이다. 물론 상대방의 역량을 정확히 파악한 후에 속공과 기습 작전을 성공시켰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시류를 잘 살펴 민정에 힘을 쏟은 점이 특징적이다. 지용겸비의 무장이라 칭해도 좋을 것이다.

 

놀랄만한 전략으로 영토를 안도

 

 군웅할거의 센고쿠 시대는 힘 있는 자가 내키는대로 빼았을 수 있었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것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었다. 타메노부는 신빙성 높은 정보를 모아서 중앙 정국의 동향을 누구보다도 빨리 탐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어느 인물에게 접근하면 유리한가를 정확히 판단했다. 센고쿠 무장의 대부분은 중앙 권력자에게 접근하기 위해서 진기한 물건이나 재보를 헌상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타메노부도 그렇게 하여 성공한 무장 중의 한 명이다.

 

 주인이었던 난부 가문에 반기를 든 대담함에 더하여 치밀함을 소유한 타메노부는 유서 깊은 가문에서 태어나지 않았기에 쓸데없는 관습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허례허식에 묶일 필요가 없었다. 창피함이라던가 겉모습에 집착하지 않고 어떻게 행동하는 지가 최선인가를 재빨리 판단할 수 있었던 희대의 명장이었던 것이다.

 

 이런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히데요시에게서 영토를 인정 받으려 할 때 나타난다.

 타메노부는 불과 18기(騎)의 부하와 함께 밤낮을 가리지 않고 오다와라 공략 중인 히데요시의 본진을 목표로 내달려, 누마즈[沼津]에서 히데요시를 배알해서는 영토를 인정 받을 수 있었다. 난부 종가(宗家)의 노부나오[信直]가 히데요시를 알현하기 3일 전이라는 아슬아슬함이었다. 1590년 3월 27일의 일이었다.

 

 타메노부는 히데요시에게 츠가루 일대의 지배를 인정받은 다음부터 '쿠노헤의 란[九戸の乱]' 출병을 시작으로 많은 군역(軍役)을 부과 받지만 충실히 따랐다. 그러나 히데요시 사후의 세키가하라 전쟁[関ヶ原の戦い]에서는 토쿠가와[德川]를 선택, 오오카키 성[大垣城] 공략에 참가하여 이에야스에게 충성을 맹세하게 된다. 한편 쿄우토[京都] 조정에서 존중받고 있던 오섭가[五摂家][각주:2]의 필두인 코노에 가문[近衛家]과 친교를 맺는 등 여타의 무장들과는 다른 수법으로 정보 수집에 열을 올렸다. 타메노부 자신도 3번 쿄우토에 올라 재물을 받치고 감사의 뜻을 올리면서 쿄우토 산죠우 거리[三条通り]에 있는 츠가루 번(藩)의 저택에 머물면서 때때로 자식들을 불러 즐거운 한 때를 보내곤 했다.

 

말년과 죽음

 

 본의는 아니지만 가문의 안정을 위해서 츠가루 통일의 공로자인 센토쿠 일족을 모략으로 멸망시킨 타메노부는 남을 믿지 못하는 마음을 고치고자 남들보다 더 불교에 정진하여 마음의 불안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불행은 계속해서찾아 왔다. 원래부터 사이가 좋지 않던 장남 노부타케[信建]는 츠가루를 버리고 떠난 뒤 쿄우토에서 병에 걸려 죽었다. 3대 번주로 눈 여겨 두고 있던 손자인 오오쿠마[大熊]가 얼굴에 큰 화상을 입는 사고를 당했고 계속해서 귀여워하던 딸 토미히메[富姬]가 자신 보다 먼저 죽는 비운을 맞보게 된다.

 

 츠가루 10만석의 번조(藩祖) 타메노부의 말년은 깊은 쓸쓸함과 죄를 뉘우치는 회개로 가득차게 되었다.

 오오우라 성에서 호리코시 성[堀越城]으로 옮긴 타메노부는 요해지인 타카가오카[鷹ヶ岡]에 새로운 성을 쌓으려 했으나 막부(幕府)에 허락 받지 못해 생전에 실현을 보지 못했다.(2대째의 노부히라[信枚]대에 완성).

 중앙 정권에 순순히 따르는 것으로 영지의 안태를 꾀했던 타메노부는 심혈을 쏟아부은듯 1607년 12월 5일 58세를 일기로 쿄우토에서 죽었다. 쿄우토의 츠가루 번의 저택이 아닌, 야마시나[山料]의 칼 장인(刀工)인 라이쿠니미치[來囯道]의 저택이라 한다. 히데요시처럼 심한 기침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타메노부는 죽음을 앞두고 3남 노부히라를 머리맡으로 불러 가독을 물려주었다. 2남 노부카타[信堅]은 일찍 죽었기 때문이다.

 노부히라는 운 좋게도 후에 이에야스의 양녀 마테히메[滿天姬]를 정실로 맞아들였다. 마테히메는 이에야스의 이부제 마츠다이라 야스모토[松平 康元]의 딸이었다. 후쿠시마 마사노리[楅島 正則]의 양자 마사유키[正之]에게 시집갔었으나 마사유키가 폐적, 참살당해 19세에 과부가 되어 친정으로 돌아와 있었다. 이에야스는 이를 불쌍히 여겨 노부히라에게 시집보냈다고 한다.

  1. 칸토우[関東]와 오우우[奥羽] 지방의 무사들에게 사적인 타툼을 하지 말라는 명령. [본문으로]
  2. '고셋케'라고 발음. 칸파쿠[関白]를 배출할 수 있는 코노에[近衛], 이치죠우[一条], 니죠우[二条], 쿠죠우[九条], 타카츠카사[鷹司]를 말한다. 서열은 필두 코노에 가문을 제외하고 모두 동급이었다고 한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