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마 하루노부(有馬 晴信)

1612 5 6일 참형(斬刑) 46.

1567 ~ 1612.

아리마 요시사다(有馬 義貞)의 둘째 아들. 형 요시즈미(義純)에게서 가독을 상속. 시마즈(島津)()와 협력하여 히젠(肥前) 시마바라(島原)에서 류우조우지 타카노부(造寺 隆信)를 물리쳤다. 세키가하라(ヶ原) 전투 후에도 영지(領地)를 안도(安堵[각주:1])받지만, 혼다 마사즈미(本多 正純)의 가신 오카모토 다이하치(岡本 大八)의 꾀에 빠져 유배지인 카이(甲斐)에서 죽었다.

(가문(家紋)은 http://www2.harimaya.com/sengoku/html/farima_k.html 에서 무단 발췌)


소년 기독교 다이묘우(大名)


 아리마 하루노부는 토쿠가와 이에야스(川 家康)에게 좋은 평가를 받아 이에야스의 양녀[각주:2]를 아들의 부인으로 맞이하는 등 말 그대로 순풍에 돛을 단 듯한 인생이었지만 말년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함정이 도사리고 있었다. 빼앗겼던 선조 전래의 옛 땅을 - 돈만 주면 어떻게든 찾아 주겠다는 달콤한 말에 넘어간 것이 자신의 생명을 앗아가 46세의 나이에 죽음을 명령 받는 비운에 휩싸이게 된다.


 하루노부는 형이 병으로 죽는 바람에 불과 5살의 나이로 아리마 가 14대 당주가 되었다. 하지만 부친 요시사다(義貞)가 여전히 건재하여 부친이 정치를 돌보았다. 그러나 그랬던 부친도 하루노부가 10살 때 세상을 떠나 시마바라 반도(半島)의 히노에 성(日野江)과 하라 성([각주:3])을 다스리는 소년 성주가 되었다.


 아리마 씨()는 하루노부의 부친 요시사다의 시대 때 류우조우지 타카노부(竜造寺 隆信)에게 압박당하여 아리마 가문이 누대에 걸쳐 소유하던 히젠(肥前)의 후지츠(藤津), 키시마(杵島), 소노기(彼杵) 3()을 빼앗겼다. 그 류우조우지 가문의 위협은 하루노부의 시대가 되어서도 여전했다.
 하지만 1580년에 부친처럼 기독교에 입신한 하루노부(당시 14)예수회에게서 많은 식량, 무기, 탄약 등을 원조받아 사츠마(薩摩)의 시마즈씨()와 연합하여 승리. 타카노부를 패사(敗死)로 몰아넣었다.


 또한 하루노부는 서(西) 큐우슈우(九州)에 있으면서도 일본 전국에 퍼져있던 선교사들에게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어 토요토미노 히데요시(豊臣 秀吉)가 두각을 나타내자 재빨리 히데요시에게 줄을 댓고 토쿠가와 이에야스(徳川 家康)가 강성하기 시작하자 세키가하라(ヶ原) 전투에서는 이에야스에게 붙는 등 천하의 동향을 정확히 판단하여 가문을 지켰다.


숙원인 옛 땅 회복


 하루노부는 기독교 다이묘우(大名)였기에 히데요시가 기독교 금지령을 선포했을 때에는 선교사들을 은닉하는 등 히데요시를 두려워하지 않고 영지(領地)의 기독교화를 진행시키는 용기의 소유자이기도 했다.

 이런 하루노부는 토쿠가와의 천하가 되자 적자(嫡子) 나오즈미(直純)를 이에야스에게 보내 그의 가신으로 만들었다. 또한 이에야스의 요청으로 베트남에 배를 보내어 향수 무역을 행했다. 그러다가 도중에 들린 마카오에서 선원이 포르투갈 사람과 싸움이 나서 쌍방에서 죽는 사람까지 나왔을 뿐만 아니라 파견했던 배까지 불에 탔다.


 하루노부는 이 소식을 듣고 보복하고자 나가사키의 항구에 입항한 포르투갈 배인 [마드레 데 데우스(Madre de Deus)] 호에 불을 질러 침몰[각주:4]시켰다. 이는 이에야스의 심중을 미리 짐작하고 하루노부가 과감히 실행에 옮긴 것이었다.
 당연히 순푸(駿府)에 있던 이에야스 거기에 당시 쇼우군(
)인 히데타다(秀忠)는 이를 기뻐하여 큰 칼(太刀)을 하사하였고 이에야스는 쿠니히메(国姫 혼다 타다마사(本多 忠政[각주:5])의 딸로 이에야스의 외증손녀)를 양녀로 삼아 나오즈미와 결혼시켰다.


 이에야스의 큰 신뢰를 얻었다고 생각한 하루노부는 기뻤다. 그래서 과거에 류우조우지 타카노부에게 빼앗겨 지금은 나베시마 번(鍋島)의 영지(領地)가 되어있는 옛 땅을 바쿠후(幕府)의 힘으로 되찾는 것도 꿈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런 하루노부의 흑심을 파고든 것이 이에야스 넘버 원 측근 혼다 마사즈미(本多 正純)의 가신 오카모토 다이하치(岡本 大八)였다.


 당시 에도()의 쇼우군()과 순푸의 오오고쇼(大御所[각주:6])는 둘로 나뉘어 정무를 행했고 그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며 권세를 누리고 있었던 것이 혼다 마사노부(本多 正信) 그의 적자(嫡子)인 마사즈미였다. 마사즈미의 가신인 다이하치는 나가사키 부교우쇼(長崎 奉行所[각주:7])에서 일한 적이 있었기에 하루노부와도 면식이 있었다.


텐모쿠잔(天目山) () 기슭에서 이슬로 떨어지다.


 다이하치에게 뇌물을 보내면 그가 마사노부, 마사즈미 부자(父子)에게 전해줄 것이고 이는 곧 옛 땅을 찾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하며 수 차례 걸쳐 남만 무역으로 얻은 진기한 물품이나 백은(白銀) 6천냥을 다이하치에게 건냈다. 이것이 발각되어 다이하치는 순푸에서 화형(火刑)에 처해졌다.[각주:8]


 이에야스는 일국의 다이묘우(大名)라는 자가 뇌물을 보내어 땅을 되찾으려 했다는 것에 크게 화를 내며 영지(領地)를 몰수한 후에 카이(甲斐)로 유배시켰다. 이때 뇌물이 혼다 부자에게도 전해졌을 것이라 여겨지지만 부자는 자기 몸을 지키기 위해서 다이하치를 재빨리 처형하고 하루노부의 입도 막기 위하여 할복을 하게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그리하여 하루노부는 카이(甲斐)의 산골에 유배되었다. 이곳은 타케다 카츠요리(武田 勝)가 부인이나 소수의 부하들과 함께 노부나가(信長)()에 포위되어 죽은 타케다 씨() 종언(終焉)의 땅이기도 했다. 그런 타케다 가문과 연이 있는 텐모쿠잔 세이운 사(栖雲)에는 가슴에 금빛 찬란한 십자가를 걸고 있는 허공장보살(虛空藏菩薩)이 현존하고 있다. 이는 하루노부가 조악한 작은 집을 만들어 거기서 기도를 올릴 때 마리아 상을 대신한 것이라고 한다.


 바쿠후는 하루노부에게 할복을 명했지만 스스로의 의지로 죽는 것은 기독교의 가르침에 어긋난다고 하여 참수를 바라여 1612 5 6일 죽음을 맞이하였다. 세례명은 [동 프로타지우].
 이에야스의 양녀를 부인으로 맞이한 아들 덕분에 영지(領地)는 아들인 나오즈미에게 주어졌고 아리마 가문은 끊기는 일 없이 존속할 수 있었다.

  1. 원래 가지고 있던 영지를 계속해서 영유할 수 있도록 허락 받음. [본문으로]
  2. 혼다 타다카츠(本多 忠勝)의 손녀. [본문으로]
  3. 이 성은 후에 시마바라 난(乱)때 농민군이 점거하던 성이 된다. [본문으로]
  4. 실은 선장이 선원들을 탈출시키고 자침시켰다. [본문으로]
  5. 혼다 타다카츠(本多 忠勝)의 적남 [본문으로]
  6. 쇼우군을 은퇴한 사람을 높이 부르는 말. [본문으로]
  7. 나가사키에 있던 바쿠후(幕府)의 지방 기관. [본문으로]
  8. 아무런 연락도 없었기에 하루노부가 마사즈미에게 물어보았다가 이를 이상하게 생각한 마사즈미가 다이하치를 조사하였고, 조사하던 중에 다이하치는 혼자 죽을 수 없다며 하루노부가 나가사키 부교우를 살해하려 했다는 말을 하였다. 하루노부는 옆에서 깐죽대던 나가사키 부교우에게 홧김에 실제로 그런 말을 했던 적이 있기에 유배되었다고 한다. [본문으로]